목록전체 글 (7)
Most smp korea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1-6 쓰기입니다. 요기까지 이론적인 부분을 갈음하고 정식으로 중국어를 배워 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쓰기는 우리가 모국어를 배울때도 그랬듯이 모든 언어 학습에 마지막?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수능에서도 논술이니 뭐니 하면서 글쓰기를 강조하고, 논리적 사고를 요하는 것이 현 추세입니다. 외국어 역시 글쓰기는 어느 정도 회화가 되고 문법이 익숙해 질 때부터 시작해야 하는 것으로 봅니다. 특히 중국어는 서면어라고 하여 평소에 쓰지 않는 표현들이 무척이나 많이 등장합니다. 어휘량도 일상생활 용어의 범위를 훌쩍 뛰어 넘습니다. 중국어 쓰기는 정말 다른 것 없습니다. 고문읽기, 연설문 읽기, 신문읽기를 계속해서 그 문형들에 익숙해 지도록 하면서 문법을 재 구성해 나가는 반복훈련 밖에 없습니다. 따라 쓰기..
1-5. 쓰기에 들어가기 전에...단어 외우기. 음 쓰기는 조금 더 있다가 설명하기로 하겠습니다. 그전에 외국어 학습의 가장 기초이며, 피해 갈 수 없는 단어 외우기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무조건 대고 외우지 말라는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냥 순서대로 한 단어 한 단어 줄그어가면서 외우는 방법은 그냥 창고 속에 물건을 막 갖다가 던져 넣기만 하는 형태의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방식이어서 정작 필요한 단어를 찾으려면 창고속을 다 뒤지거나, 엉망진창인 창고 속을 바라 보면서 멍하니 얼음이 되어 버리는 결과를 가져 올 뿐이라는 사실... 그러면 어떻게 외우는 것이 좋은가에 대해서 되묻게 될 텐데요. 기적의 기억법인가 뭔가 하면서 한참 유행하던 것 기억나세요? 거기에서 연상 기억법이라고 사물 하..
1-4. 읽기는... 듣기와 말하기를 하고 나서 읽기를 시작합니다. 우리가 영어를 배울때 했던 방법이랑은 좀 많이 차이나죠? 우린 알파벳을 배우자 마자 읽기 연습부터 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다들 그렇지 않나요? 그렇게 읽으면서 발음을 교정하고 듣기 테잎이나 자료는 저 멀리 한번도 개봉하지 않은 상태로 늘 교재 뒷면에 끼워져 있는 상태이지 않았나요? 제가 말씀드리는 방법은 단순히 제가 생각해 낸 방법이 아니라, 자연의 법칙에 따른 순리에 순응하는 방법인 겁니다. 아이가 모국어를 배우는 과정을 다시 되짚어 보시면, 듣기, 말하기, 읽기, 그리고 쓰기로 넘어가는 겁니다. 우리 역시 그렇게 배우면 됩니다. 주의 하실 것은 반드시 듣기를 선행하셔야 한다는 겁니다. 듣기를 선행하셔야 말하기를 할 때 뉘앙스를 잘 ..
1-3. 말하기 연습 이어서 계속 써 보겠습니다. 그렇게 계속 들으면 좋은점은.... 우선 음절 음소단위로 잘라서 들을 수 있게 되면 다른 언어를 배울 때도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듣기가 되면 잘 잊어 먹지 않게 됩니다. 무엇 보다도 원어민식의 액센트를 따라 하실 수 있는 기초가 된 겁니다. 많은 사람들이 외국어 능력의 목표치를 원어민 처럼 자연 스럽게 할 수 있기를 바라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그냥 교재 시디로, 테잎으로 아무리 듣고 따라해서 혀에 버터를 가득 발라도, 원어민 같은 느낌이 나지 않습니다. 오히려 버터 바른 혀는 겉 멋든 사람처럼 보이고 없어 보이기까지 하지요. 그렇지만, 영화나 드라마에서 나오는 얘기들을 그대로 들어서 익힌 사람들은 그 어조나 어기를 자연스럽게 습득해서 회화에 적용할 ..
1-2. 마음가짐과 듣기로 시작... 오늘은 듣기와 말하기 읽기 쓰기를 얘기 해 볼게요. (오늘은 좀 길 것 같아요 천천히 읽어 주세요.) 사실 제가 강의를 할때 첫 강의때는 늘 이 주제를 가지고 얘기를 하는데요. 授人以鱼不如授人以渔(고기를 잡아다 주는 것 보다 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 주는게 낫다)라는 말 아시죠? 물론 지난 번에도 잠시 지나가는 말로 언급한 적이 있긴 합니다만... 어쨋든 외국어를 공부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을 말씀드리자면, 5到 라고 하는 중국의 공부방법을 잠시 빌어 와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건 처음 중국에 들어가서 TV 를 보던 중 수능 최고득점 학생이 나와서 인터뷰하는 장면에서 '어, 저거 내가 공부하는 방법이랑 비슷하네?' 라는 생각이 들어 기억하고 있던 것입니다. 물론 그 ..
1-1. 준비사항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것부터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어떠한 목적으로 외국어공부를 시작하건, 외국어를 배우겠다고 마음 먹었으면, 듣기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혹자는 말하더군요. 하나도 안 들리는데 듣기를 어떻게 시작하냐고... 하나도 안 들리기 때문에 하나를 듣는 것 부터 시작하셔야 하는 겁니다. 하나를 듣고 나면 둘을 듣게 되고 셋,넷.... 모두를 듣게 되는 겁니다.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속담을 굳이 말씀드리지 않아도 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듣기가 되면, 쉽게 잊혀지지 않습니다. 유학갔다 돌아오고 얼마 안 돼 잊어 먹었다는 얘기는 유학가서 듣기를 제대로 하고 오지 않았다는 반증입니다. 유학가면 듣기를 잘 할 거라는 믿음도 지워 버리십시오. 감이 늘..